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생활11

경차전용 주차구역에 주차하면 과태료 부과될까? 안녕하세요 22년 3분기 우리나라의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는 약 2,535만대로 인구 2.03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한적한 시골 아닌 이상 읍내만 가더라도 주차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인데요. 모처럼 차를 가지고 나왔는데 주차할 자리를 찾지 못하고 헤매다 우연히 한 자리 발견했는데 하필 경차 전용 주차구역 표시가 되어있는 경우가 있죠 보통 이런 상황에서는 우리는 두 가지를 생각합니다. 첫 번째, 경차전용 주차구역인데 주차하면 과태료를 내는 건 아닐까? 두 번째는, 내차가 세단 혹은 SUV인데 이 좁은 공간에 대도 괜찮을까? 라는 고민인데요 오늘은 경차 전용 주차구역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보자 하는 취지에서 작성해 보았습니다. 경차 전용 주차구역은 언제 왜 생긴 것일까? 국토교통.. 2023. 7. 7.
6월 자동차세 납부, 가산세 피하고 연납으로 할인받자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운전자라면 잊힐만할 때 자동차세 고지서를 우편으로 받게 되는데요. 어느덧 자동차세 납부의 달인 6월이 찾아왔습니다. 자동차는 보유하고 있으면 재산이지만 사는 순간부터 그 가치가 서서히 하락하는 소모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차를 소유하고 있는 동안은 재산에 포함되기 때문에 우리는 나라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저는 주말용 SUV 한대, 출퇴근용 승용차 하나를 유지하고 있어요 그래서 자동차세를 내는 달은 지갑이 한없이 얇아진답니다. 오늘은 자동차세의 납부시기, 납부기한, 자동차세 계산법, 납부방법(연납, 부분납), 자동차세 환급 등에 관하여 알려드리려고 해요. 자동차세란 지방세의 하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하며 승용차, 승합자동차, 화물 자동차, 특수 자동차, 삼륜차 따위.. 2023. 6. 20.
우회전 일시정지의 오해와 그로 인한 부작용에 관하여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차량에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가 다치거나 사망했다는 뉴스를 접할 때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을 금치 못하게 되는데요. 우회전하는 운전자의 일시정지 의무를 담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이 23년 1월 22일 시행되었고 3개월의 계도기간을 거처 4월부터는 본격적인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2년 7월에 시행된 개정안은 횡단보도 앞에서 보행자가'통행하려고 하는 때' 운전자에게 일시정지 의무를 부여했지만 개정된 시행규칙에 따르면 운전자는 우회전 신호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차량신호등이 빨간불일 때 정지선 앞에서 반드시 일시정지한 뒤 우회전해야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단, 우회전 신호등이 설치된 곳에서는 녹색 신호에만 우회전할 수 있습니다. 우회전 일시정지 벌금은 승합차 7만 원, 승용차.. 2023. 6. 19.
대다수가 모르는 고속도로 앞지르기 규정? 23년 달라진 도로교통법 최근 23년도에 달라진 도로교통법 몇 가지를 살펴보던 중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하나 발견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그 내용은 고속도로 앞지르기 규정 위반에 대하여 강화된 규정에 관한 것인데요. 이 규정은 지정차로제와도 많은 관련이 있기에 고속도로 지정차로제에 대한 내용을 먼저 알아볼게요. 고속도로 지정차로제란 자동차 도로의 안전을 지키고 통행속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차로에 따른 통행차량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도로교통법 제60조 외에도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6조, 제39조에서 차로에 따른 통행구분을 설명하고 있으며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서 통행차의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지정차로제의 요지는 차선을 1차로와 왼쪽, 오른쪽으로 간소화하여 나눈 뒤 그 차선에 맞는 차종을 지정한다는 내용인데요 .. 2023. 6. 18.
반응형